방송영상 콘텐츠가 `수출효자`
페이지 정보
작성일 23-01-31 12:25
본문
Download : 090217111929_.jpg
방송영상 콘텐츠의 수출은 아시아 지역 편중이 두드러졌다. 뒤를 이어 오락 186억4000달러, 다큐멘터리 62억7000달러 수준이었다. 애니메이션은 지난해 611만달러 수출로 전체의 5.3%를 차지했다. 반면 수입은 크게 급감해 2008년 방송 호로그램 수입액은 전년 대비 32.3%가 감소한 2184만달러로 조사됐다. 주요 수출 대상 국가는 日本 이 7911만달러를 우리 호로그램을 수입해 68.4%를 차지했고 다음은 대만 776만달러(6.7%), 미국 602만달러(5.2%) 순이었다. 수입 역시 드라마가 강세를 나타내 드라마 수입은 지난 2007년 796만달러에서 지난해 972억달러로 확대됐다. 아직까지는 드라마 중심의 방송영상 수출이 집중되고 있다는 것이다.
주요 수출 호로그램의 실태을 보면 드라마가 지난해 1억536만달러로 전체 수출액의 91.1%를 차지했다.
방송영상 콘텐츠가 `수출효자`
순서
레포트 > 기타
방송영상 콘텐츠가 `수출효자`
우리나라 방송 호로그램의 수출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반면 수입은 감소하는 등 방송영상 콘텐츠가 ‘수출 효자품목’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아
16일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(KBI·원장 박준영)이 집계한 ‘2008년 방송호로그램 수출입 실태’ 보고서에 따르면 2008년도 방송 호로그램 해외 수출은 전년대비 10.82% 증가한 1억8016만8000달러에 달했다.
방송영상 콘텐츠가 `수출효자`
다. 케이블TV와 독립제작사의 방송호로그램 판매는 2006년 70.40%의 고성장을 보이다 2007년 6.28%로 소폭 감소했지만 지난해에는 12.97%의 수출로 회복세를 나타냈다. 대 China 수출은 2007년 778만달러에서 지난해 549만5000달러로 비중이 축소됐는데 이는 China 내 한국 문화에 대한 ‘혐한’ 기류 등이 影響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.
Download : 090217111929_.jpg( 30 )
방송영상 콘텐츠가 `수출효자`
그동안의 우리나라 방송호로그램 수출 추이를 보면 지난 98년 이후 연평균(average) 27.8%의 고성장세가 지속되고 있다아 지상파의 경우 지난 2008년 10.58%의 수출 증가를 기록하는 등 꾸준한 상승세가 뚜렷하다.





설명
김승규기자 seung@etnews.co.kr
윤재식 방송영상산업진흥원 산업연구팀장은 “우리나라 방송영상물의 주 수출시장인 아시아권이 여전히 강세를 보이고 있는 상황”이라며 “동유럽, 중남미, 아랍권, 중앙아시아 등을 대상으로 하는 다각적 시장 진출 모색이 필요한 때”라고 말했다.